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령연금 수령나이 신청방법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by 바뀌는소식 2025. 7. 25.

국민연금은 은퇴 후의 생활을 책임질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하지만 노령연금을 언제, 어떻게 수령하느냐에 따라 평생 받을 수 있는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조기·연기 수령 전략부터 신청 방법까지, 2025년 기준으로 노령연금의 모든 것을 정리해드립니다.

노령연금 수령나이
노령연금 수령나이

 

 노령연금이란 무엇인가?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납부한 뒤,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이 국민연금 급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노령연금 (분할연금 포함)
  • 장애연금
  • 유족연금
  • 반환일시금
  • 사망일시금

이 중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일정한 나이에 도달하면 매달 평생 받을 수 있는 급여로, 가장 대표적인 연금 유형입니다.

 

노령연금 수령 조건

노령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가입 기간: 국민연금 보험료를 10년(120개월) 이상 납부해야 합니다.
  • 지급 개시 연령: 출생연도에 따라 다름 (아래 참조)

 

 

📆 출생연도별 노령연금 지급 개시 나이

 

예를 들어, 1970년생이라면 만 65세부터 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신청 방법

노령연금은 자동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신청이 필수입니다.

 

✅ 신청 시기

  • 정상연금: 지급 개시 연령 도달 1~2개월 전부터 가능
  • 조기연금: 60세부터 (또는 해당 지급개시연령 기준 최대 5년 전)
  • 연기연금: 연금 신청 후 연기 선택 가능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국민연금공단

5487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만성동, 국민연금) ⓒ nps.or.kr. All Rights Reserved.

www.nps.or.kr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필요
    • ‘내 연금 신청’ → 노령연금 신청 클릭

 

📌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내 곁에 국민연금

‎본 앱은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 다양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여 빈곤을 해소하고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인 "국민연금"의 대국민 전용 앱입

apps.apple.com

 

 

📌 방문 신청

  • 국민연금공단 지사(전국 109개소)
  • 신분증, 통장사본 지참

 

📌 전화 문의
국민연금 고객센터: ☎ 1355 (유료)

 

 

 노령연금 신청 시 필요서류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국민연금 가입 내역이 포함된 증빙자료(시스템 자동 연동)
  • 사업소득자나 근로소득자는 소득 확인서류(조기 수급자 기준)

 

 

조기노령연금: 최대 5년 앞당겨 수령 가능

노령연금은 지급 개시 연령보다 최대 5년 일찍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조기노령연금 또는 조기연금이라고 합니다.

 

  조기수령 조건

  •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
  • 수령 시작 나이가 지급 개시 연령보다 빠름
  •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수령 가능

 

  감액률

  • 조기연금은 ‘손해연금’이라고도 불립니다. 수령을 앞당긴 만큼 매달 받는 연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 1년 앞당길 때마다 6% 감액
  • 최대 30% 감액 가능 (5년 앞당길 경우)

예시:
1970년생 김씨의 정상연금 개시 연령은 65세
→ 정상연금 예상액: 월 100만 원
→ 조기연금으로 60세에 받으면: 월 70만 원 (30% 감액)

 

 

연기노령연금: 최대 5년 늦춰 수령 가능

정반대로, 연금을 더 늦게 수령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이를 연기노령연금(연기연금)이라고 하며, 수령 시기를 연기하면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 연기 조건

  • 정상 지급 개시 연령 도달 후
  • 국민연금 수령 유예 신청 필요
  •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

 

✅ 증액률

  • 1년 연기 시마다 7.2% 증가
  • 최대 36% 증액 가능 (5년 연기 시)

예시:
김씨가 65세에 받지 않고 70세부터 수령
→ 월 136만 원 (연기 보너스 포함)

 

 

노령연금 수령 전략, 이렇게 세우자


건강이 좋고 오래 일할 수 있다면?
→ 연기연금으로 수령액 늘리기

 

당장 소득이 없고 생계가 급하다면?
→ 조기연금으로 빠르게 수령 시작

 

평균 수명 전후(80세 전후)의 생존 확률 고려
→ 정상 수령이 가장 무난

 

부부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라면?
→ 한 명은 조기, 다른 한 명은 연기 수령해 분산 전략 고려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노령연금은 몇 살부터 받을 수 있나요?
A. 출생연도에 따라 다릅니다. 1953~1956년생은 만 61세부터, 이후 출생자는 점차 상향되어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수령 가능합니다.

 

Q2. 노령연금을 60세에 받을 수는 없나요?
A. 가능합니다. 조기노령연금 제도를 통해 본래 개시 연령보다 최대 5년 앞당겨 받을 수 있지만, 매년 6%씩 연금액이 감액됩니다.

 

Q3. 연기노령연금은 최대 몇 년까지 늦출 수 있나요?
A.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하며, 매년 7.2%씩 연금액이 증액되어 총 36%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Q4. 조기연금을 선택하면 평생 감액된 금액을 받게 되나요?
A. 네. 조기연금은 일시적인 감액이 아닌 평생 감액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수급을 고려해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Q5. 연기연금으로 늘어난 금액도 평생 유지되나요?
A. 맞습니다. 연기노령연금을 선택해 늘어난 연금액은 향후 평생 동안 동일하게 지급됩니다. 단, 연기 기간 동안은 수령이 불가하므로 재정 상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마무리

노령연금은 단순히 ‘받기 시작하는 시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시점에 따라 향후 수령할 수 있는 총액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은퇴 시점, 개인의 건강 상태, 경제적 여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기 수령할지, 아니면 연기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특히 60세 전후로 은퇴를 계획하고 있다면, 연금 수령 시기에 따라 수령액 차이가 수천만 원 이상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인 판단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정보와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수령 시점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와 상담센터(1355)를 통해 언제든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노령연금 수령나이 1
노령연금 수령나이 2
노령연금 수령나이 3
노령연금 수령나이 4
노령연금 수령나이 5